
임신 15주차의 주요 내용
잇몸이 붓고 코피가 날 수 있습니다.
칼슘, 비타민, 철분, 아연 등 영양에 관심을 줄 시기입니다.
임신 중 성관계에 대한 오해를 정리했습니다.
태아가 빛과 소리를 인식하기 시작합니다.
임신 16주차 산모
일반적인 증상

임신 중 골반통(Pelvic Girdle Pain : PGP)이 생길 수 있습니다. PGP는 전체 임신부의 약 20%가 경험하고 있는데 기존에 허리통증이나 골반통증이 있는 사람들이 더 잘 경험합니다. 명확한 원인은 불분명하지만 임신호르몬이 출산 때 골반을 열기 위해 인대를 이완시키게 되고 이 때문에 골반의 안정성을 감소하면서 통증이 발생한다고 봅니다. 임신 중 이런 통증은 삶의 질이나 부부관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스트레스가 되어 태아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저강도 운동을 자주 해주고 규칙적으로 스트레칭 하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됩니다. 또 통증이 심하다면 전문의의 진단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슴 크기가 계속해서 커지는데 유선이 발달하는 등 모유 수유를 위한 변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변화는 임신 중기가 끝날 때면 다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자궁이 창자를 압박하기 시작했고, 변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평소에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잡곡밥, 연근, 고구마, 해조류, 견과류, 양파, 키위, 사과 등)을 먹고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망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사실 임산부가 왜 건망증이 생기는지 확실히 알기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생물학적인 이유일 가능성이 많습니다. 평소보다 기억이 잘 안나고 잘 까먹는 상황에 대해 스스로를 자책하거나 비난할 필요가 없습니다. 중요하게 기억해야 할 일들은 메모해 놓도록 합시다.
눈이 건조 하지거나 가려워질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도 호르몬의 영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약국에서 파는 안약을 넣기 위해서는 반드시 약사에게 임신사실을 밝히거나 전문의에게 처방을 받은 안약을 넣도록 합시다.
임신을 하면 피부가 건조해지고 푸석푸석해진다고 하지만 이 시기에는 피부에서 광이 날 수 있습니다. 이 또한 호르몬의 변화의 영향이 큰데, 사람마다 호르몬의 변화가 다르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증상도 다를 수 있습니다.

빠른 경우 몇몇 사람들은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처음에는 가스나 근육의 움직임처럼 느껴지는데 시간이 지나고 태아의 힘에 세지면서 태아의 움직임임을 인식하게 됩니다. 첫번째 임신이라면 임신 18주 - 22주가 될때까지도 태아의 움직임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두번째, 세번째 임신이라면 더 빨리 알아차리게 됩니다. 지금 태아의 움직임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조급해하거나 불안해할 필요가 없습니다.
금연
아직 금연을 하지 못했다면 지금이라도 멈출 필요가 있습니다. 임신 중 흡연은 유산, 조산, 저체중아 등 태아에게 심각한 영향을 줍니다. 또한 천식이나 감염에 대한 위험도 큽니다. 임신 중 흡연과 출산 후 흡연은 태아, 영아에 대한 갑작스런 사망의 위험(영아돌연사증후군 등)과 관련성이 있다고 제시되는 등 위험합니다. 산모 뿐 아니라 산모의 집, 차, 또는 주위에서도 흡연을 삼가야 합니다.
체중 증가에 대한 염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임산부들은 출산 전까지 10kg 이상 체중이 증가됩니다. 태아의 몸무게를 제외하고는 어떤 것들이 체중을 증가시킬까요? 신생아의 몸무게는 3~4kg 사이라고 봤을 때 태아를 감싸고 있는 양수는 약 0.8kg, 태아에게 영양분을 공급하는 태반은 약 0.7kg정도 됩니다. 그 외에 늘어날 혈액, 커진 가슴, 자궁 주위의 근육, 몸을 보호하기 위한 지방 등이 7.7kg정도 됩니다.
따라서 체중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고 태아가 잘 성장하고 있는 증거입니다. 체중 증가를 단순히 살이 찌는 문제로 보아 우울해하기 보다는 이 과정은 임신의 일부이고, 소중한 생명 탄생을 위한 필수단계로 인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신 16주차 태아

태아의 키는 약 11.5cm 에 몸무게는 약 100g가 되었습니다. 태아는 약 180ml의 양수 안에서 보호받고 있습니다.
탯줄이 완전히 성숙했고, 태아는 폭발적으로 자라나게 되는데, 태반도 함께 커져서 더 많은 영양을 공급하는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목 근육에 힘이 생겨서 머리가 더욱 꼿꼿해지고 몸이 더 편해집니다.
손아귀와 신체 조정력이 발달하면서 어쩌면 두 손을 맞잡을 수도 있습니다.
코 밑에 인중이 나타나면서 윗 입술이 큐피트의 활 모양처럼 생겨집니다.
태아의 혈액순환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면 매일 약 28리터 정도의 피를 펌핑하게 됩니다. 큰 수치처럼 보이는데, 태어날 때에는 그 12배인 336리터의 피를 펌핑할 것입니다.
참고
Elden, H., Ladfors, L., Olsen, M. F., Ostgaard, H. C., & Hagberg, H. (2005). Effects of acupuncture and stabilising exercises as adjunct to standard treatment in pregnant women with pelvic girdle pain: randomised single blind controlled trial. Bmj, 330(7494), 761.
'스마트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표] 임신 18주차의 모든 것 (임신 중 소화불량, 속쓰림, 하지정맥류, 태변, 태변흡입증후군) (0) | 2022.02.10 |
---|---|
[지표] 임신 17주차의 모든 것 (경제 변화, 임신중 우울증, 먹는양, 칼로리) (0) | 2022.02.09 |
[지표] 임신 15주차의 모든 것 (임신 15주 증상, 임신 중 성관계, 태아 영향) (2) | 2022.02.08 |
[지표] 임신 14주차의 모든 것 (머리카락, 탈모, 쥐젖, 코피, 컨디션 회복, 운동, 식단) (0) | 2022.02.08 |
[지표] 임신 13주차의 모든 것 (임신 중기, NIPT, 양수검사, 기형아검사, 니프트, 니프티,임산부 권장체중) (0) | 2022.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