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 상담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있습니다.
이어서 상담 종결 알아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6EpMh/btrt5xomwDQ/dE2YwX7NarYSDX8gcj6rQK/img.png)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https://blog.kakaocdn.net/dn/nZvnu/btrt4KnUJta/pAgBa6wN5zR9kbV3GWwln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5sivj/btrt6uLDtlb/v7wBvzh9fOGrSbsWLqhoZK/img.png)
내담자가 느끼는 문제가 해결되어 내담자가 상담을 마쳐도 무리가 없을 단계에서 상담을 끝냅니다.
너무 일찍 상담을 정리할 경우 내담자가 불안을 느끼며 같은 문제가 재발하여 고통받을 수 있고,
반대로 종결을 적절히 못 한 경우는 스마트심리상담사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결은 주로 처음에 계획했던 회기를 진행하면서 회기 말미에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되었는지에 따라 계획대로 종결하거나 추가 회기를 다시 계획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계획대로 종결을 맞춰서 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고,
그렇다고 꼭 그렇게만 해야 하는 것은 아닙디다.
상담 중에 언제든지 종결에 대해 이야기를 꺼낼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IwtRh/btrt7sz5miw/Erie9J0t5SlRL6n9T8iHH0/img.png)
상담의 종결은 사전에 계획해야 하는데, 이때 내담자와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유미숙(1997)에 의하면 아동의 경우, 그 수준에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동이라고 일방적으로 부모와 스마트심리상담사의 합의로 결정하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스마트치료가 잘 되었다면,
아동은 자연스럽게 종결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아동이 상담의 마무리를 거부한다면, 그 이유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때 아동은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인데 종결을 서두르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wdZ0B/btrt6tzdiEJ/pTDajUcgdVIjOuNlWgLdx0/img.png)
일반적으로 2~4회기 정도를 남기고 종결에 대해 언급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동에게는 종결 시까지 남은 횟수만큼 사탕 부케를 준비한다든지 하여
남은 기간 상담이 끝날 때마다 한 개씩 가져가게 함으로써
마지막 사탕을 집는 날 상담이 완전히 종료되었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하도록 소정의 장치를 쓰기도 합니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치료 간의 차이점 (0) | 2022.02.24 |
---|---|
지속적인 관심 (0) | 2022.02.23 |
스마트기기 및 앱 셀프케어 훈련 (0) | 2022.02.22 |
행동변화 촉진 (0) | 2022.02.22 |
내담자 이해하기 (0) | 2022.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