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내용
|
비용
|
체크
|
||
여성
|
자궁경부암
|
- 자궁경부암을 약 70% 예방
- 발병원인인 인유두종바이러스는 성접촉을 통해 전염되어 이상적인 접종연령은 9세~13세임 - 연령이 늦었거나 성경험이 있어도 예방접종을 권장함 - 14세 이하는 2회, 14세 이후는 3회로 권장 접종횟수가 다를 수 있음 - 1차 접종 후 임신이 되었다면 출산 후 다시 맞으면 됨 - 현재 가장 예방 범위가 넓은 것은 가디실 9가(9가지 예방) - 성인은 6개월에 3회를 나눠 맞음, 임신 6개월 전 접종필요 |
회당 15-20만원
만12세 여성 청소년의 경우 보건소나 지정 의료기관 방문시 무료접종(2회) |
|
성인용 Td
(파상풍,디프테리아) |
- 급성, 호흡기 전염병
- 임신 중 파상풍에 걸리면 태아 사망률이 60%에 이를 수 있음 - 10년이 지났다면 재접종이 필요 - 임신 1-2개월 전에 접종 권장 (임신 중 접종 가능) |
1-2만원
|
|
|
MMR
(홍역, 볼거리, 풍진) |
- 산전검사를 통해 풍진 항체 여부 확인, 항체가 없다면 접종 진행을 권장
: 임신 12주 이내에 감염된 경우 태아감염률 80% 이상 : 태아가 풍진에 걸릴경우 심장질환, 난청, 백내장 등 질환을 초래 - 생백신으로 접종 후 1개월 피임 권장 (의학적 이유로) : 접종 후 한달 내 임신 시 태아 기형사례는 아직 없으나 감염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문의와 상담 필요 |
3-5만원
|
|
|
A형간염
|
- 심하면 췌장염, 신경손상, 급성신부전증 발생 가능
- 예방접종력이 없거나 A형간염 앓은 적이 없는 경우 접종 권장 - 6개월 간격을 두고 2회 접종 - 임신 중에도 접종 가능 (현재도 임산부들이 많이 맞고 있음) |
보건소 : 회당 4-5만원
(거의 아동만 해당, 지자체 보건소 확인필요) 병원 : 회당 6-9만원 |
|
|
B형간염
|
- 조산의 위험증가, 심할경우 유산을 초래
- 태아에 수직감염될 수 있음 - 6개월 동안 3회 접종 - 임신 중에도 접종 가능하나 아직 의사마다 의견이 다름 : 임신 중 괜찮다 vs 16주 이후부터 맞아라 vs 출산 후 맞아라 -> 임신 전 미리 접종하는 것이 최고의 준비 |
보건소 : 회당 5,000원
병원 : 회당 3-4만원 |
|
|
수두
|
- 대부분 어릴 때 예방접종하기 때문에 항체가 있음
- 임신 중 수두 걸릴시 태아의 2%정도 선천성 기형 발생 - 생백신으로 접종 후 1개월 피임 권장 (의학적 이유로) - 1-2달 간격으로 2회 접종 |
2-4만원
|
|
|
독감
(인플루엔자) |
- 합병증 발생률, 유산, 조기분만 등 영향을 줄 수 있음
- 임신 중 어느때나 맞아도 됨(관동의대 한정열 센터장 曰) - 접종 4주 후 항체가 최고치에 달해 3-6개월간 효과 지속 - 임신 중 독감예방주사 맞으면 태아의 항체수치 높인다는 연구있음 - 백신을 달걀에서 키우기 때문에 달걀 알러지 있으면 전문의와 상의 |
2-4만원
*보건소는 노인 외 접종불가 / 지역별 확인필요 |
|
|
폐렴구균/
대상포진 |
- 치료기간과 치료비용이 많이 듦
- 임신 첫 3개월에 예방주사 맞는 것은 안정성 증명이 아직 안되었음 - 대상포진은 생백신으로 접종 후 1개월 피임 권장 |
폐렴구균 : 10-15만원
대상포진 : 15-20만원 |
|
|
남성
|
자궁경부암
|
- 여성에게 성접촉을 통해 전염할 수 있으므로 남성도 예방접종 권장
- 여성이 예방접종이 완료되었다면, 남성 스스로를 위해 접종가능 - 성기사마귀, 항문암, 음경암 등 관련 질환을 예방 할 수 있음 : 발병률이 낮고 사마귀는 치료가 쉬우니 선별적으로 접종가능 |
성인 회당 약 15-20만원
|
|
진단검사 후 선택
|
이하선염, 홍역, 풍진, 수두, 파상풍, A-B형간염 등 배우자에게 감염을 옮길 위험을 최소화하고 자신의 건강을 위해 임신 전 필요에 따라 예방접종을 할 수 있음
|
|
|
임신 전 검사와 예방접종은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임신 중 항바이러스 치료에 대한 임상자료들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에 명확한 권고안이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보단, 먼저 울타리를 점검하고 튼튼하게 하여 건강하게 출산준비를 하는 지혜로움이 필요합니다.
주의사항
본 체크리스트는 전문정보를 중심으로 다양한 커뮤니티 자료들을 접목하였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2018 질병관리본부 성인 예방접종 안내서,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 길잡이, 네이버 지식백과, 기사, 맘카페, 보건소 등

728x90
'스마트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슈] 보건복지부 장애인 부부를 위한 임신출산 매뉴얼 제작 (0) | 2021.12.24 |
---|---|
[Q&A] 임신 중 커피 마셔도 되나요? (0) | 2021.12.23 |
[Q&A] 수정부터 탄생까지 태아의 변화 (0) | 2021.12.22 |
[Q&A] 임신을 위해 아빠도 준비가 필요한가요? (0) | 2021.12.22 |
[진단] 임신 전 필수검사 체크리스트 (0) | 2021.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