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K-콘 개최
코로나 이후 3년 만에 재개한 CJ ENM의 '케이콘'이
온·오프라인 동시에 개최하고 메타버스 연계 등을 통해 최대 성과를 냈다.

출처:CJ ENM
LA에서 열린 케이콘2022
19일부터 21일까지 LA 크립토닷컴 아레나와 LA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케이콘 2022 LA'는 오프라인 관객 9만명에
OTT, 스트리밍 등 온라인으로만 708만명이 접속했다.
메타버스 플랫폼에서도 케이콘 전용 가상공간을 열고 13만명 모객에 성공했다.
세계 176개 국가에서 총 730만명이 '케이콘 LA 2022'와 함께한 셈이다.
3년 전 케이콘 LA 행사 때는 오프라인에서 4일간 10만3000명이 참여했다.
CJ ENM이 케이콘 온라인 흥행과 함께 K-콘텐츠 디지털 연계 성장 가능성을 확인시킨 것으로 평가된다.
국내에서는 티빙이 케이콘 독점 제공
국내는 티빙이 케이콘을 온라인 독점 제공했다.
일본과 인도네시아에서는 각각 자국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그 외 나라에서는 케이콘,Mnet 유튜브 공식 채널에서 케이콘 K-팝 콘서트를 생중계했다.
네이버제트와 손잡고 메타버스 플랫폼 '네이버 제페토'에 '케이콘 월드'를 오픈해
가상공간과 현실을 잇는 새로운 케이콘 관람 경험을 제공했다.
'포스트 코로나' 첫 케이콘, 온오프·메타버스로 최대 성과
코로나 이후 3년 만에 재개한 CJ ENM의 케이콘이 온·오프라인 동시 개최, 메타버스 연계 등을 통해 최대 성과를 냈다. 현지시간 19일부터 21일까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크립토닷컴 아레나와 LA컨
www.etnews.com
'스마트정보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시대의 '디지털 ㅇㅇㅇ' 용어 바로알기 (0) | 2022.08.25 |
---|---|
메타버스 단순 맵에서 업무미팅, 경험 마케팅, 팬덤 형성으로 활용도 높인다 (0) | 2022.08.24 |
서울시 VR활용 '소원여행' 개발, 추억여행으로 우울감 완화 (0) | 2022.08.19 |
롯데홈쇼핑, 벨리곰 멤버십 NFT 출시 (0) | 2022.08.18 |
카카오 다음 먹거리는 '헬스케어' 의료계 디지털 전환 본격화 (0) | 2022.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