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BR0br/btrqY9pNEPT/uyOqI53rKzgpzVNyofeBt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qXXsX/btrqXxqTtRH/PGrskiCCOC8P5vevSTKbL0/img.png)
임신하면 불편한 것들
Journal of Clinical Nursing의 2013년 한 논문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임신 불편사항은 메스꺼움(87.8%), 피로(77.9%), 유방통증(76.2%)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임신 중-후기에는 다뇨증(중기:79.9%, 후기:88.4%), 피로(중기:75.6%, 후기:88.4%), 속쓰림(중기:71.3%, 후기:81.8%) 순서로 나타났습니다. 또 다른 논문에서는 임신 후기의 여성들이 하루 6시간도 제대로 못자는 등 수면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신체적 어려움 뿐만 아니라 정서적으로도 영향을 받는데, 약 25%의 임산부들이 출산에 대한 강한 두려움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중요하게도 대다수의 임산부들은 이런 신체적, 정서적 증상들을 줄이기 위한 별다른 대책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자칫 신체적 정서적 불편감을 해소하지 못하게 되면, 조산, 난산 등 임부와 태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갈 수 있습니다.
임신 전, 중, 후 임산부 스스로를 위해서 스트레스와 피로를 감소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나 방법을 찾아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yiU2/btrqVvz9Iq4/id3uaePSoqbA64PkJe1Rz1/img.jpg)
신체적 정서적 증상을 줄이기 위해 관심이 필요합니다.
임신후기 피로, 수면장애, 스트레스
본 논문에서는 임신 27주 이상 임신후기 여성을 대상으로 피로, 수면장애, 임신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사하였습니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피로가 많을 수록 임신스트레스가 높고 잠을 잘 못자게 되어, 다시 피로가 많아집니다. (악순환고리)
계획 임신을 하면 피로감을 덜 느낄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가연구 필요)
신체 변화, 건강상태, 가정 내 역할, 경제상태 변화 등에 적응하는데서 오는 스트레스가 피로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계획임신의 경우 상대적으로 변화에 수용적이기 때문에 계획하지 않았을 때보다 피로감을 덜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한 상태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은 피로감을 줄이고 활력을 증가시킵니다. (유산소, 요가 추천)
임신 중에는 수면 시간과 질이 줄어듭니다. (숙면을 취하기 위한 포근한 잠자리 필요)
카페인을 섭취하면 숙면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유의해야합니다.
임신스트레스관리에 배우자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미리 대비해요
임신하면 맞닥뜨릴 신체, 정서적 변화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하기는 하지만,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한 사람들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임신 중 피로, 수면, 스트레스에 대비하여 임신 전, 중, 후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을 생각해보고 실제로 적용해서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건강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YtxKn/btrqNfS66wD/figXtP5Dzsdho3l0zgojpk/img.jpg)
다양한 관리를 통해 피로, 수면, 스트레스에서 자유로워지세요.
참고
Nazik E, Eryilmaz G. Incidence of pregnancy-related discomfort and management approaches to relieve them among pregnant wome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4;23(11-12):1736- 1750.
Hall WA, Hauck YL, Carty EM, Hutton EK, Fenwick J, Stoll K. Childbirth fear, anxiety, fatigue, and sleep deprivation in pregnant wome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9;38(5):567-576.
정미영, 황경혜, & 조옥희. (2014). 임신후기 여성의 피로, 수면장애 및 임신 스트레스. Korean J Women Health Nurs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0(3), 195-203.
'스마트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문] TV, 스마트폰, 컴퓨터, 미디어 노출이 영유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튜브, 인지발달, 언어발달) (0) | 2022.01.19 |
---|---|
[Q&A] 영유아 스마트폰 사용 괜찮나요? (언어발달, 중독, 유튜브, 밥먹을 때, 차에서) (22) | 2022.01.18 |
[지표] 분만 - 분만 후 신생아 특징, 관리 (0) | 2022.01.17 |
[지표] 분만에 대해 (조산, 만삭, 과숙, 자연분만, 재왕절개, 무통분만, 유도분만) (0) | 2022.01.14 |
[지표] 분만 - 산모의 신체, 산모의 정서, 주의할 점 (0) | 2022.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