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종결
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 상담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있습니다.
이어서 상담 종결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내담자가 느끼는 문제가 해결되어 내담자가 상담을 마쳐도 무리가 없을 단계에서 상담을 끝냅니다.
너무 일찍 상담을 정리할 경우 내담자가 불안을 느끼며 같은 문제가 재발하여 고통받을 수 있고,
반대로 종결을 적절히 못 한 경우는 스마트심리상담사에게 의존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종결은 주로 처음에 계획했던 회기를 진행하면서 회기 말미에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되었는지에 따라 계획대로 종결하거나 추가 회기를 다시 계획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 계획대로 종결을 맞춰서 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고,
그렇다고 꼭 그렇게만 해야 하는 것은 아닙디다.
상담 중에 언제든지 종결에 대해 이야기를 꺼낼 수 있습니다.

상담의 종결은 사전에 계획해야 하는데, 이때 내담자와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유미숙(1997)에 의하면 아동의 경우, 그 수준에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합니다.
아동이라고 일방적으로 부모와 스마트심리상담사의 합의로 결정하는 것은 옳지 못합니다.
스마트치료가 잘 되었다면,
아동은 자연스럽게 종결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아동이 상담의 마무리를 거부한다면, 그 이유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때 아동은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인데 종결을 서두르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2~4회기 정도를 남기고 종결에 대해 언급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아동에게는 종결 시까지 남은 횟수만큼 사탕 부케를 준비한다든지 하여
남은 기간 상담이 끝날 때마다 한 개씩 가져가게 함으로써
마지막 사탕을 집는 날 상담이 완전히 종료되었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 하도록 소정의 장치를 쓰기도 합니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