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놀이치료(Sand Play Therapy)
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와 다른 심리치료와의 비교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모래놀이치료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모래놀이치료는 영국의 소아과 의사인 로웬펠드(Lowenfeld)에 의해서
만들어진 모래 상자(tray)를 이용한 아동심리치료 기법으로 놀이치료기법 중 하나입니다.
모래놀이치료는 아동이 모래놀이를 하면서
자신의 순간적인 사고를 표현하는 과정에서 사고 전체를 표현하는 데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모래놀이치료는 매체로 모래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각뿐만 아니라 촉감과 같은 감각 요소를 제공하여 아동에게 흥미를 유발합니다.

모래놀이가 효과를 보려면 모래 상자가 아동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합니다.
다양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도록 질감과 색깔이 다양한 모래를 첨가합니다.
또한 실제 모형의 축소판들을 나타내는 상징물이 많아야 합니다.
모래판에 사용되는 상징물로는 사람모형, 동․식물 모형, 탈 것, 무기,
자연물, 구조물, 만화영화 주인공들, 날씨를 나타내는 입체 구조물, 종교적 상징물 등이 쓰입니다.

모래놀이치료는 모래와 작은 모형들을 매개체로
아동의 무의식과 의식을 연결 지음으로써 치료가 이루어지는 과정입니다.
이 기법은 언어가 별로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그림을 이용한 기법보다 아동의 심리적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아동이 자기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래 놀이는 삼차원적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기법에 비해 강한 충돌 표출이 가능하고 작품의 기록이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래라는 매체를 벗어나기가 어렵고 다양한 상징물을 갖추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종류가 풍부하지 못하면 그만큼 아동의 흥미를 유지하거나,
내면을 표현하는 데 한계가 생깁니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