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치료제 정부 투자 근황 및 정리 그래프 (급격한 증가 추세)

디지털 치료제 관련 정부 R&D 투자는 최근 5년(2015년 ~ 2019년) 동안 총 442억원(연간 평균 88억원)이고 연평균 25.3%로 급격히 증가
l 2015 ~ 2019년 NTIS 과제 기준 투자금액은 2015년 53억원에서 2019년 131억원으로 연평균 25.3% 증가했으며, 2017년 일시적 정체 이외에는 지속적으로 상승
l 정부 R&D 과제 수 역시 5년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CAGR 28%)이나, 2019년 과제 수는 86건으로 타 분야 대비 적은 편

디지털 치료제 분야 R&D 투자는 과기정통부(구 미래부), 산업부, 복지부 순으로 3개 부처에 투자 집중
-> 특히 복지부 / 교육부에서도 투자한다는 것이 디지털치료제와 교육/복지와의 관계성을 말해줍니다.

주로 대학과 연구소에서 진행중이고


기초 연구를 끝내고 개발연구에 보다 집중하는 모습입니다

다양하면서도 보편적인 질환에 연구개발이 활발합니다.

활용가능성이 높은 기술개발->콘텐츠/SW개발이 눈에 띕니다

의학분야를 넘어서서 임상/간호/심리/인지과학/뇌인지/뇌공학 등에도 많이 투자되고 있습니다

저희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는
IT기술을 활용한 심리상담 관련 정보들을
카페를 운영해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카페에 방문해주셔서
간단한 절차를 통한 등업 후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도 신청해보세요 :)
스마트심리상담사 정기 자격과정
KAST의 홈페이지에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에 대해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에 대한 자세한 소개 링크와 자격과정 신청 링크 첨부합니다. (...
cafe.naver.com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