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운동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EJcyN/btrsNx3Nu7n/DGHHroRHls0QYCgBD0jci0/img.png)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https://blog.kakaocdn.net/dn/bBbcDd/btrsManIS01/fUm0QMVKoFSk5v5KgrgKm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eur15g/btrsFsC2yn4/x7nChP7V3ZnanUulKJTohK/img.png)
가. 정의
운동장애는 틱 장애(갑자기 신체를 움직이거나 이상한 소리를 반복적으로 냄),
발달성 운동조정장애(신체 질병이 없음에도 걷기, 뛰기, 앉기 등에 결함을 보임),
상동증적 동작장애(목적 없이 특정한 행동을 반복적으로 지속함) 등으로 분류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M7Vl/btrsHGOvdib/cseH0FrMTx5hRaDtBYar5k/img.png)
나. 원인
운동장애나 틱 장애는 뇌 신경 전달 체계의 문제, 유전적 문제, 뇌 손상, 면역 반응의 문제 등과 관련이 높습니다.
틱 장애는 다른 질환과 함께 발병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뚜렛 환자의 약 50%는 ADHD도 함께 겪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틱 장애가 생물학적 원인으로부터 발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물론 그 외에 학습 요인, 심리적 요인도 관련성은 있으나
틱 장애의 직접적인 발생 원인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즉 양육을 잘못했다고 해서 틱 장애로 진단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말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txAwa/btrsLxpWfLQ/ANdgbsxr1zPpqrvCiIJ0d0/img.png)
다. 증상
운동 틱의 경우 심하게 눈을 깜박이는 것, 얼굴을 찡그리는 것,
콧바람 불기, 다리 떨기 등 근육을 빠르게 움직입니다.
한편 음성 틱의 경우 단어나 구절 반복하기, 단순한 소리내기, 복잡한 단어 및 소리내기 등을 보입니다.
틱 증상은 수면 중에는 현저히 감소하나, 컴퓨터 게임이나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놓이게 되면 증상이 악화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keRX/btrsQpEb651/eq5GP1uSjMhgioNefLrNq0/img.png)
라. 치료방법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운동장애의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또한 약물치료에 더해 인지행동치료나 이완 요법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다행스러운 점은 틱 장애는 완치가 가능하다는 것인데, 치료를 받은 뚜렛 환자의 30%는 완전히 증상이 없어졌으며
30% 정도는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부진 (0) | 2022.02.09 |
---|---|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0) | 2022.02.09 |
급식 및 섭식장애 (0) | 2022.02.08 |
집단따돌림 (0) | 2022.02.07 |
불안장애 (0) | 2022.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