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학습부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가. 정의
학습부진은 신경학적인 결함은 없지만 지적능력에 비해 학습능력 즉 성적이 낮게 나오는 것을 말합니다.
대개의 학습부진아동은 ‘지능은 높지만 각 교과가 요구하는 최소한의 학업성취수준에 미달 되는 자’로 정의합니다.


나. 원인
학습 의지 부족, 학습 동기 결여, 공부방법의 부적절, 누적된 학습 결손,
심리 및 정서 불안정, 건강 및 신경심리학적 문제(ex. ADHD) 등과 같은
학습자 개인 특성 측면과 가족으로부터 심리적 지원 결여, 경제적 결손, 수업의 질 미흡 등과 같은
환경적 지원 측면으로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특히 경기도교육연구원(2014)에 따르면 가구소득 등 사회경제적 배경이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 여부보다 학습부진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다. 증상
-학업성적이 낮다
-특별히 좋아하는 과목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부진한 패턴을 보인다
-가정과 학교에서 부과되는 개인적인 책임을 미룬다
-숙제나 일에 대한 약속을 제대로 지키지 못한다
-장기적인 책임에 대해 관심이 없다
-책임져야 하는 것들을 잘 잊는다
-앞으로 열심히 공부하겠다는 약속을 남발한다
-주의가 산만하다
-상을 주거나 벌을 주어도 학업 성취에 큰 변화가 없다

라. 치료방법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의욕을 북돋아 줄 수 있는 스마트 앱을 선정하고,
학습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줍니다.
학습부진 아동은 지적능력이 부족하지 않으므로 스마트심리상담사는
스마트기기와 앱을 활용한 시간 중에 아동의 학습의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상담을 진행합니다.

스마트심리상담사는 스마트기기와 앱을 활용하여 주요 과목에 대한 흥미를 돋우며
학습 부진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질-관련 및 중독장애 (0) | 2022.02.10 |
---|---|
스마트폰 과의존 (1) | 2022.02.10 |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0) | 2022.02.09 |
운동장애 (0) | 2022.02.08 |
급식 및 섭식장애 (0) | 2022.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