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TWkf/btrsSjyOozp/bdHbpnCqWL2odsofgoHMl0/img.png)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https://blog.kakaocdn.net/dn/RTab4/btrsXFACpCM/k5rVt9XoYYv8UO0eZdPSd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I5Fhw/btrs0vdceWf/3e5v4q28cBaMLSvONEnp41/img.png)
가. 정의
스마트폰 과의존이란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자율적 조절능력이 떨어지고,
생활 패턴의 변화로 인한 사회적, 신체적, 심리적, 행동적인 부정적 결과를 경험하고도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8N2XD/btrsXttKxK6/qwadjBPKkvRUFCyWM8DYN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MYzz9/btrsY74Ntap/5P0mcElUMLWLElrbK9S531/img.png)
나. 원인
스마트폰 과의존의 원인으로는 개인적 요인, 가족 요인,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해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 요인으로는 낮은 자존감, 자기통제력 미흡, 충동성, 우울, 불안,
정신 건강의 문제, 스마트폰 과이용에 대한 문제 인식 부족 등이 있습니다.
가족 요인으로는 부모의 낮은 애착 정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미흡 등이 있습니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학교 부적응, 교사 부적응, 친구 부적응, 환경 부적응, 사회적 지지 부족 등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uao8U/btrsUbAQPAy/Af2L8Hdi5veit2syKK91xk/img.png)
다. 증상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과 직접 만나는 것보다 스마트폰을 통해서 소통하는 것을
더욱 편하게 여기게 되면서 대인관계 스킬, 의사소통능력 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으로 게임이나 동영상을 자주 보면서 빠르고 강한 정보에 익숙해지고,
현실 세계의 느리고 약한 자극에는 반응하지 않게 되는 ‘팝콘 브레인(popcorn brain) 현상이 생길 수 있다.
셋째, 하루를 마무리하고 침대에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 전에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하는 습관으로 인해,
수면시간이 줄어들고 숙면하지 못하면서 ‘수면 장애’에 대한 위험성이 커진다.
또한 불을 끈 상태에서 스마트폰 불빛인 블루라이트에 호르몬이 영향을 받아
호르몬 분비에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넷째, 스마트폰 속 빠르고 강한 자극을 보기 위해 눈 깜빡임이 적어지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밤에 스마트폰 불빛을 눈앞에서 보면서 근시, 시력 약화,
눈의 피로도 증가 등 만성적인 안과 질환에 노출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0nEYm/btrsXfoDn7g/2aiMd1S46jvasFB5kMPgsK/img.png)
라. 치료 방법
스마트폰을 올바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가 어떤 상태에 있는지 문제를 인식하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거나,
주변과의 대화 및 스마트심리상담사를 통해 현재 상태를 파악합니다.
이후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습관, 기술들을 바탕으로
스마트폰 사용 실천 방안 및 대안을 세워 실천합니다.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스마트폰 바른 사용과 조절에 대한 내용을 알리고 필요에 따라 도움을 받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x4C5/btrsXgui7tg/mCdrmTCkOpvri0B3pv8Iw1/img.png)
스마트심리상담사는 스마트폰 과의존으로 내방한 부모-자녀에게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가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자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야 합니다.
부모에게는 사용 권한과 통제의 키를 자녀에게 온전히 넘겨주어야만 한다는 점,
자녀가 처음 온전한 통제권을 가졌을 때 스마트폰 조절에 시행착오를 겪는 것은 자연스러운 과정이라는 점,
자녀는 성인이 아니기 때문에 부모의 끊임없는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심리상담사의 정의 (0) | 2022.02.11 |
---|---|
물질-관련 및 중독장애 (0) | 2022.02.10 |
학습부진 (0) | 2022.02.09 |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0) | 2022.02.09 |
운동장애 (0) | 2022.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