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비 엄마, 아빠의 건강 상태 확인을 위해 산부인과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가벼운 질병이라도 임신을 준비하고 임신을 한 상황에서는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전적, 내과적 질환, 그 동안의 질환 이력 등을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또한, 음식 섭취만으로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 줄 수 있는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전문의와 상의 후 복용하도록 합니다.

[예비엄마]
▶ 소변검사
소변을 통해 당뇨병, 신장병 등을 확인
▶ 혈액검사
빈혈 확인, 응급상황 대처에 필요한 혈액형 확인
▶ 성병검사
에이즈, 임질, 클라미디아 등 검사
▶ 간염, 간기능 검사
간염 예방 접종 받아 항체 만들어진 후에 임신하는 것이 좋음
▶ 풍진 검사
산모가 풍진에 걸리면 태아의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신 계획 3개월 전 받는 것이 좋음, 풍진 항체 없다면 예방접종 다시 받아야 함, 접종 후 3개월 간은 반드시 피임
▶ 난소, 자궁 검사
자궁, 난소 건강 상태 확인
▶ 갑상선 기능 검사
불임, 유산, 태아 성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확인
☆ 엽산
임신 초기 태아의 뇌와 척추가 형성되는 데 필요한 영양소, 임신 한 달 전부터 섭취하는 것이 좋음
☆ 철분
임신 중 체내에 철분이 부족하지 않도록 임신 전부터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좋음
[예비아빠]
▶ 정액검사
정자 수, 활동성, 형태의 이상 유무 확인, 필요시 치료받는 것이 좋음
▶ 간염검사
배우자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확인하고 임신 시도 전에 예방 접종 필요
▶ 성병검사
배우자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검사 필수
☆ 엽산
엽산을 많이 섭취하면 정상적인 정자의 수가 많음
☆ 아연
정자의 수를 늘려주고 정자의 활동성을 높여줌
☆ 코엔자임Q10
정자를 활성화시킴
임신 준비를 위한 예방접종 안내
임신 중 질병에 걸렸을 때 임산부의 건강은 물론이고 태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이에 예방접종은 임신 준비를 위해 필수적인 사항입니다. 예방접종은 항체가 생길 때까지 3~6개월 가량 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임신을 준비하기 전에 시간을 염두에 두고 접종을 하면 좋습니다. 또한, 예비엄마 뿐 아니라 예비아빠도 함께 접종을 해야 합니다. 접종 전에 항체가 있는지 검사하고 필요하다면 반드시 접종하여 건강하고 안전한 임신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MMR(홍역/볼거리/풍진) 백신
임신 중에는 접종할 수 없으므로 미리 준비, 태아 기형 유발, 유산
◆ 수두백신
임신 중 수두가 발병하면 태아에게 치명적
◆ 성인 Td(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신
임신 중 파상풍 걸리면 태아에게 치명적
◆ A형 간염
임신 중 합병증 유발 가능성
◆ B형 간염
모체가 감염자이면 태아에게 수직 감염 가능성
◆ 독감 백신
임신 중 약을 먹지 못하므로 합병증 유발 가능성
※ 예비엄마는 ◆ 자궁경부암 백신도 추가!
'스마트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단] 임신 전 필수검사 체크리스트 (0) | 2021.12.21 |
---|---|
[논문] 임신 전 건강관리 얼마나 하시나요? (0) | 2021.12.21 |
[Q&A] 계획임신 몇달 전부터 준비해야할까? (0) | 2021.12.17 |
[논문] 불임부부, 성 의사소통이 중요해요 (0) | 2021.12.16 |
[논문] 계획임신 꼭 필요할까? (0) | 2021.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