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와 다른 심리치료와의 비교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치료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시는 꿈만큼 인간의 무의식에 가장 가까운 언어입니다.
시의 여러 요소가 내면세계로 통하는 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문학작품 중 시만 활용한다는 의미에서 독서치료 보다 그 매체가 한정되어 있음에도,
미국에서는 시 치료가 독서치료와 동의어로 쓰일 정도로 대중적입니다.

독서치료에서도 시를 치료에 사용하지만,
독서치료에서 사용하는 시가 가진 심미성이 아닌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반면에 시 치료에서는 내담자의 가장 깊은 내면을 시로 표현하도록 도와
카타르시스와 통찰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시를 통하여 내담자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그 속에서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됩니다.

시 치료의 대상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외롭거나 대인관계가 제한되어 있는 환자에게서 더욱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시를 써 본 경험이 있거나 좋아했던 사람에게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자기 생각이나 감정을 표출하기를 부담스러워하는 내담자에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특히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 반사회적 인격장애, 급성정신병 환자에게는
시 치료를 적용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 능력의 개선
시 작품은 이미지(심상)나 느낌을 자극하고 풍부하게 해줌으로써,
내담자의 반응 능력을 개선해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해 있던 사람이 시로 인해 또 다른 일상의 아름다움을 느끼거나,
자신을 제대로 인식하게 되는 등의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자기 이해의 증진
시를 통해 자기 자신을 알아갈 수 있고, 제대로 평가하게 됨으로써
자신을 사랑할 수 있게 됩니다.

대인관계의 명확화
시를 통해 주변 상황, 주변 사람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자신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떻게 비치는지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은 대인관계를 보다 명확하고 원만하게 가질 수 있게 돕는다.

현실 적응의 확대
또 시 작품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게 되면,
현실을 보는 다양한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시에서 발견되는 현실 세계에 대한 이해는 내담자가 현실에 적응할 수 있게 도우며,
내담자의 사회적, 심리적 현실을 확대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시 치료의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시작품은 이미지(심상)나 느낌을 자극해서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정서적으로 풍부하게 해준다.
② 시로 인해 일상생활 중의 작은 아름다움들을 느끼게 되어
드디어는 자기 자신을 제대로 인식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킨다.
③ 시를 읽으면서 시에 대한 이해를 하다 보면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어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
④ 시를 읽으면 시에 나오는 다양한 소재를 이해하는 이해심은
자신을 관대하게 만들고, 대인관계를 증진시킨다.
⑤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들을 시작품에서 접하면서
구체적인 이미지와 정보를 현실에 적응하는 능력이 높아진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저희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는
IT기술을 활용한 심리상담 관련 정보들을
카페를 운영해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카페에 방문해주셔서
간단한 절차를 통한 등업 후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도 신청해보세요 :)
스마트심리상담사 정기 자격과정
KAST의 홈페이지에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에 대해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에 대한 자세한 소개 링크와 자격과정 신청 링크 첨부합니다. (...
cafe.naver.com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치료(Journal Therapy) (0) | 2022.03.12 |
---|---|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 (0) | 2022.03.04 |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0) | 2022.03.04 |
모래놀이치료(Sand Play Therapy) (0) | 2022.02.28 |
독서치료(Biblio Therapy) (0) | 2022.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