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와 다른 심리치료와의 비교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시치료 알아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kwDt/btrvGaMJdqI/1yilikLkxAKbgflKSCrnQ1/img.png)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https://blog.kakaocdn.net/dn/cBwxpH/btrvGa0fKCf/FUD6nlLtwKrKF1KM6bGOP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GtBi/btrvE40tZFx/j9RRwTxkPLwgEdkfBp7K21/img.png)
시는 꿈만큼 인간의 무의식에 가장 가까운 언어입니다.
시의 여러 요소가 내면세계로 통하는 문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문학작품 중 시만 활용한다는 의미에서 독서치료 보다 그 매체가 한정되어 있음에도,
미국에서는 시 치료가 독서치료와 동의어로 쓰일 정도로 대중적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YL5cR/btrvKJ7D9HX/7HlAMSPhkI1VazRqfuQ561/img.png)
독서치료에서도 시를 치료에 사용하지만,
독서치료에서 사용하는 시가 가진 심미성이 아닌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데 관심이 있습니다.
반면에 시 치료에서는 내담자의 가장 깊은 내면을 시로 표현하도록 도와
카타르시스와 통찰이 일어나도록 합니다.
시를 통하여 내담자는 자신을 객관적으로 표현하고 그 속에서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HoZVC/btrvI3eIIiQ/MwYyKXoarumezlCAkimGq0/img.png)
시 치료의 대상은 특별히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외롭거나 대인관계가 제한되어 있는 환자에게서 더욱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시를 써 본 경험이 있거나 좋아했던 사람에게 크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자기 생각이나 감정을 표출하기를 부담스러워하는 내담자에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특히 기질성 정신장애 환자, 반사회적 인격장애, 급성정신병 환자에게는
시 치료를 적용시키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LE5dO/btrvI3eIIay/XJgqa0iw7TpxGB8u1000G1/img.png)
반응 능력의 개선
시 작품은 이미지(심상)나 느낌을 자극하고 풍부하게 해줌으로써,
내담자의 반응 능력을 개선해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해 있던 사람이 시로 인해 또 다른 일상의 아름다움을 느끼거나,
자신을 제대로 인식하게 되는 등의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Vqi4/btrvGbrj1jP/Ws31DwjdFd1DaRvBMUDstk/img.png)
자기 이해의 증진
시를 통해 자기 자신을 알아갈 수 있고, 제대로 평가하게 됨으로써
자신을 사랑할 수 있게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PyxbH/btrvI3FQ1u5/0U6SuOf4y9Ec0Aa7tBsNv0/img.png)
대인관계의 명확화
시를 통해 주변 상황, 주변 사람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 자신이 주변 사람들에게 어떻게 비치는지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과정은 대인관계를 보다 명확하고 원만하게 가질 수 있게 돕는다.
![](https://blog.kakaocdn.net/dn/bYf8j7/btrvIyzgDjr/NvuRSiw2keZdoEMnebLR1K/img.png)
현실 적응의 확대
또 시 작품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게 되면,
현실을 보는 다양한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시에서 발견되는 현실 세계에 대한 이해는 내담자가 현실에 적응할 수 있게 도우며,
내담자의 사회적, 심리적 현실을 확대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kN373/btrvFAENpQz/0SQMpIokyOaxvBOHlG4amk/img.png)
시 치료의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시작품은 이미지(심상)나 느낌을 자극해서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정서적으로 풍부하게 해준다.
② 시로 인해 일상생활 중의 작은 아름다움들을 느끼게 되어
드디어는 자기 자신을 제대로 인식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을 증가시킨다.
③ 시를 읽으면서 시에 대한 이해를 하다 보면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어 우울증에서 벗어날 수 있다.
④ 시를 읽으면 시에 나오는 다양한 소재를 이해하는 이해심은
자신을 관대하게 만들고, 대인관계를 증진시킨다.
⑤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들을 시작품에서 접하면서
구체적인 이미지와 정보를 현실에 적응하는 능력이 높아진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저희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는
IT기술을 활용한 심리상담 관련 정보들을
카페를 운영해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관심있으신 분들은 카페에 방문해주셔서
간단한 절차를 통한 등업 후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도 신청해보세요 :)
스마트심리상담사 정기 자격과정
KAST의 홈페이지에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에 대해 자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스마트심리상담사 자격과정에 대한 자세한 소개 링크와 자격과정 신청 링크 첨부합니다. (...
cafe.naver.com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치료(Journal Therapy) (0) | 2022.03.12 |
---|---|
이야기치료(Narrative Therapy) (0) | 2022.03.04 |
동물매개치료(Animal Assisted Therapy) (0) | 2022.03.04 |
모래놀이치료(Sand Play Therapy) (0) | 2022.02.28 |
독서치료(Biblio Therapy) (0) | 2022.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