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vi6Tb/btrq33Logvl/JodEJ0nCwdlSNaHoBW5bmk/img.png)
임신 사실을 몰랐을 때 염색이나 파마를 한 임산부가 시간이 지난 후 임신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염색과 파마가 아이에게 문제가 되지 않을까 걱정을 많이 합니다. 또는 임신 중에도 회사를 다니고 있는 워킹맘이어서 염색(뿌염), 파마, C컬 등 머리 손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임신 중 염색, 파마, 뿌염, 매직 등 화학물질을 사용한 머리 손질이 괜찮은지 알아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CAPAb/btrq8ITib16/KbCuveQPtBkOHQllfmLiZk/img.jpg)
커뮤니티 속 질문
아직 회사 다니고 있어서 머리해야하는데 C컬 괜찮나요?
임신 10주차인데 머리 갈라지고 빠지고 난리났어요~ 파마해도 되나요?
임신 33주인데 파마 되나요?
임신 중 파마해보신분 계신가요 여기저기 찾아봤는데 케바케라서...
한 15주쯤 되면 파마 되나요?
임신 16주, 염색 괜찮을까요?
최근에는 파마, 염색을 한다 vs 안한다의 개념보단 언제 해도 되는지에 대한 질문이 많아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임산부의 염색이나 파마 후기가 많이 올라오면서 질문도 바뀌어 가는 것 같습니다. 많은 임산부들이 염색을 하거나 파마를 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태아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까 하는 불안한 마음은 여전했습니다.
커뮤니티 속 다양한 답변
임신 중 염색, 어떤 의사쌤은 괜찮다 하고, 어떤 의사쌤은 안된다 합니다. 저는 하는 쪽으로 정했어요.
임신 9주차인데 새치가 많아서 집에서 뿌염했어요.. 신경쓰이네요 ㅠ
3개월 지나면 괜찮다고 해서 5개월쯤에 했어요
성별은 나오고 해야죠~ㅋ
저는 임신 12주때 가서 파마하고 염색하고 다 했어요~
저는 8개월때 했어요
전 천연으로 6개월째 했어요
전 30주에 파마했어요~
안하는게 젤 좋아서 커트 말고는 손도 안댔어요..
답변을 보면 전문가들도 어떤 명확한 답변을 내려주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많은 임산부들이 주관적인 답변을 주고 있습니다. 이에 정확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임신 중 염색이나 파마가 가능한지, 또 가능하다면 몇주 정도 부터 가능한지에 대해 답변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임신 중 염색, 파마
임신 중 염색, 파마에 대한 전문의, 관련기관의 의견을 모아봤습니다.
산부인과 전문의
|
|
H산부인과 전문의
|
임신초기부터 13주정도까지는 태아의 모든 기관이 형성되기 때문에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음. 불가피한 경우 임신중기에 가능하지만 이왕이면 피하는 것이 좋음.
|
B산부인과 전문의
|
산화제, 환원제, 염모제 등 화학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에 임신 초기 12주 내에는 피하는 것이 좋음. 그러나 파마나 염색이 태아 기형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는 없음.
|
R산부인과 전문의
|
기형, 유산을 걱정하는 것, 이런 일은 임신 8주 전에 일어나기 때문에 12-14주 이후에는 큰 무리가 없음. 기형선별초음파(20주) 이후 권장
|
M1산부인과 전문의
|
임신 중 염색, 파마의 유해성에 대한 연구가 없음. 두피는 피부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간접영향은 고려해야 함.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았기에 자제할 것을 권고 (천연 염색약, 천연파마약 포함)
|
M2산부인과 전문의
|
정확한 데이터 부족으로 정답은 없음. 임신 10-15주까지는 자제를 권고, 불가피할 경우 임신 중기
|
F산부인과 전문의
|
임신초기에는 모든 것을 조심. 안정기 이후 미용실의 환기, 염색약 성분 등 따져보고 할 것을 권장
|
관련기관
|
|
맘스톡톡
|
임신 주수별로 가능여부가 다름. 초기~15주, 33주~출산까지는 안됨, 16~32주는 가능(시슬 전 패치 테스트를 권장)
|
베스트베이비
|
임신 16주까지 피하는 것이 안전, 굳이 하고 싶다면 중-후반기
|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임신 28주까지는 피하는 것이 안전, 굳이 해야한다면 임신 말기가 나음. 분만 후에는 아기와 직접접촉이 빈번해 오히려 악영향을 줄 수 있음.
|
마더세이프, 보건복지부
|
파마나 염색으로 흡수되는 약물의 양이 매우 적을 것으로 추정.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지만 기형이 늘지 않은 연구가 있음. 임신 12주 이후에 하면 더욱 안전
|
단국대 제일병원 산부인과
|
동물 임상연구결과 사람 사용량의 100배 용량에도 태아발달에 특별한 변화 없었음. 임신 중 3-4번의 염색은 안전하다는 문헌도 있음. 파마약도 매우 소량만 흡수되어 아기에게 거의 도달하지 않음. 매직약은 저체중, 조산의 위험성을 증가시키지 않음 but) 제품이 실제흡수되어 아주 적은 양에는 노출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없음. <한정열 교수>
|
해외기관
|
|
미국임신협회
|
화학물질의 독성이 크지 않으며, 소량이어서 임신 중에도 안전함. 너무 걱정되면 순수 식물성 헤나를 대안으로 알아볼 수 있음. 일부 의사들은 임신 중-후기에 하는 것을 권장.
|
영국국가보건의료서비스
|
화학물질을 많이 투여하면 유해할 수 있는건 사실이나 염색, 파마는 매우 적은 양임으로 안전함. 일반적으로 임신 초기 임산부들은 염색을 하지 않고 있음. 식물성 염료 추천, 사전 염료테스트, 미용사와 상담 후 진행이 안전, 약물을 두피가 아닌 머리카락에만 묻히면 더 좋음.
|
수유 중에는?
수유 중 염색과 파마에 대해서도 알아보았습니다.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수유 중에는 파마를 하거나 머리 염색을 해도 괜찮음.
|
제일병원 한정열 교수
|
소량의 약품만 엄마의 혈류로 들어감. 아기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나타낸 보고는 없음.
|
미국임신협회
|
임신 중과 마찬가지로 소량이기 떄문에 모유를 통한 위험성이 거의 없음.
|
영국국가보건의료서비스
|
화학물질이 혈류로 거의 들어가지 않음. 모유 수유 중 염색, 파마 등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가 없음.
|
미용사에 대한 연구
임산부의 염색, 파마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지만 주당 30시간 이상 근무하는 미용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자연유산, 기형아, 저체중아 출산이 더 많았다고 합니다. 미용실 근무자라면 화학물질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환기를 자주 시키고 장갑을 착용하며 자주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
본 내용을 정리하자면
1. 염색약, 파마약 등 화학물질이 매우 소량 흡수되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임
2. 관련 임상연구가 부족하지만, 심각한 문제(기형, 조산 등) 를 일으킨다는 연구는 없음.
2. 꼭 해야한다면 임신 초기는 피할 것을 권유
로 정리되는 것 같습니다. 정리된 자료를 참고하여 현명한 선택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임신 중에는 궁금한 것은 자의적인 판단이나 커뮤니티의 댓글보다는 담당 의사에게 물어보시는 것이 더욱 안전하겠습니다.
'스마트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Q&A] 우리아이, 모유·분유 수유량과 수유횟수는? (신생아, 몸무게별, 주수별, 개월수별, 수유량 계산법, 수유확인지표, 표준성장도표) (0) | 2022.01.20 |
---|---|
[Q&A] 임신중 치과치료 되나요? (마취, 신경치료, 발치, 사랑니, 엑스레이, 임플란트, 교정) (1) | 2022.01.20 |
[논문] TV, 스마트폰, 컴퓨터, 미디어 노출이 영유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튜브, 인지발달, 언어발달) (0) | 2022.01.19 |
[Q&A] 영유아 스마트폰 사용 괜찮나요? (언어발달, 중독, 유튜브, 밥먹을 때, 차에서) (22) | 2022.01.18 |
[논문] 임신후기 스트레스 원인과 관계 (피로, 수면장애, 운동, 커피, 계획임신, 다뇨) (1) | 2022.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