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게슈탈트 스마트치료 모형

by 한국스마트치료협회 2021. 12. 7.
728x90

안녕하세요.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입니다.

스마트치료의 이론적 배경 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게슈탈트 스마트치료 모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통합되어 있는 구조를 독일어로 게슈탈트라고 합니다.

다시 말해, 전체, 형태, 모습 등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게슈탈트 치료는 1960년대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프리츠 펄스(Fritz Perls)가 시작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혁명적인 치료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존주의 철학이 현상학적 방법에 기초한다면,

게슈탈트 치료는 현상학, 정신분석 그리고 게슈탈트 심리학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즉 본 것을 인식으로 나타내는 현상학, 무의식 세계를 외부로 표현하는 정신분석,

그리고 개체는 어떤 자극에 노출되면 그것을 쪼개어 보지 않고,

통합적으로 보는 게슈탈트 심리학 등의 영향을 받아 정립된 것입니다.


게슈탈트 스마트치료의 목적은 자아 분석이 아닌, 자아의 통합에 있으며,

그 기본 가정은 개인 스스로 자기 삶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잘 다룰 수 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스마트심리상담사의 역할은 내담자가 자신이 경험하고 느끼는 것을 방해하는

장애물을 자기 스스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의 존재에 대해 충분하게 경험하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때 자아 통합의 개념은 자신의 자각에만 한정하지 않고, 사고, 욕구, 감정, 행동, 신체감각 등

유기체의 전 영역으로 확장해 적용하고 있습니다.


게슈탈트 스마트치료의 중점은 과거 미해결 과제를 해결하는 것에 있습니다.

무엇보다 스마트기기나 앱을 통해 내담자의 미해결 과제를 전경으로 드러내고,

능동적인 자세로 미해결 과제를 매개체를 통해 안정적으로 만나

현재 경험과 접속하려는 역할에 치료의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게슈탈트 스마트치료의 한 방법을 살펴보면,

스마트심리상담사가 내담자에게 스마트 콘텐츠를 제시한 후,

먼저 경험되는 것이 무엇이며 나중에 경험되는 것은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그것을 통해 내담자가 콘텐츠의 내용에서 전경과 배경을 자연스럽게 현재의 경험으로 드러내며

변화시킬 수 있도록 돕습니다.

게슈탈트 스마트치료에서는 스마트심리상담사와 내담자의 실존적인 만남이 중시되기 때문에

스마트심리상담사의 조력자 역할이 중요합니다.

결과적으로, 게슈탈트 치료는 개인이 부딪히는 상황에 대해 개인의 책임을 강조합니다.


스마트치료에 대한 접근은 게슈탈트 치료처럼, 해석이 주가 아닌,

최대한 내담자가 스마트 콘텐츠나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미해결 과제를 전경에서 만나

해결적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즉 내담자가 스마트 콘텐츠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직접 진술하게 하여

자신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문제를 치료하는 작업이 게슈탈트 스마트치료의 목적이며 의미입니다.


게슈탈트 스마트치료는 내담자 스스로가 스마트기기나 앱을 경험하면서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와 인식을 갖게 되면서 문제점을 치료하는 것입니다.

 

게슈탈트 스마트치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내담자와 스마트심리상담사 사이에 신뢰감과 친밀한 관계가 형성되어

내담자가 자신의 내면세계를 있는 그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고 표현할 때는 직접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충분하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이끌어 가야 합니다.

스마트심리상담사는 내담자의 표현을 통해서 진단하고 문제점을 치료할 수 있도록

최대한 내담자가 가진 잠재력을 활성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이 내용은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에서 출간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에서 발췌하여 가져왔습니다.

책에 대해 더 궁금한 내용이 있으시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출판사업]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스마트치료의 이론과 실제 ※ 교보문고 ※ YES24

blog.naver.com

감사합니다.

(주)한국스마트치료협회

 

728x90

댓글